반응형
▶ 4가지 키워드로 정리하는 핵심 포인트
● 상수는 번하지 않는 값을 저장하는 식벌자입니다. const 키워드를 사용해 선언합니다.
● 변수는 번히는 값을 저장하는 식벌자입니다. let 키워드를 사용해 선언합니다.
● 상수 또는 변수를 생성하는 것을 선언이라고 합니다.
● 상수 또는 번수에 갔을 넣는 것을 할당이라고 합니다.
▶ 확인 문제
1. 다음 중 상수를 선언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는 어떤 것인가요? ①
① const
② let
③ var
④ comment
2. 다음 중 값을 할당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는 어떤 것인가요? ②
① :=
② =
③ <=
④ =>
3. 다음 프로그램 중에서 오류를 발생하는 것을 찾고 어떤 오류가 발생하는지 적어보세요
<script>
const r;
r=10;
console.log(넓이 = `${3.14 * r * r}`);
console.log(둘레 = `${2 * 3.14 * r}`);
</script>
에러 발생 !! ( const는 항상 선언시 할당도 같이 해줘야한다 )
<script>
let r;
r=10;
console.log(넓이 = `${3.14 * r * r}`);
console.log(둘레 = `${2 * 3.14 * r}`);
</script>
에러 발생 안함!
4. 다음 프로그램의 실령 결과를 예측해 보세요
const number =10
console.log(++number)
console.log(number++)
console.log(++number)
console.log(number--)
9
9
11
11
이라고 예측했지만
답은 const라서 에러가 발생한다 ....
반응형
'Dev > 혼자 공부하는 자바 스크립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3-1 if 조건문 (0) | 2023.04.07 |
---|---|
02-3 자료형 변환 (0) | 2023.04.07 |
02-1 기본 자료형 (1) | 2023.04.07 |
01-3 알아두어야 할 기본 용어 (0) | 2023.04.07 |
01-1 자바스크립트의 활용 (0) | 2023.04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