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전체 글

카테고리 없음

[오류] no matching manifest for linux/arm/v8 in the manifest list entries

오류mac m1 환경에서 docker를 사용하여 mysql 8버전의 이미지를 다운 받으려고 한다.docker pull mysql:8 명령어를 실행했더니 다음과 같은 오류가 났다.원인 분석도커 허브의 MySQL 공식 이미지 안내에는 ARM 64 태그가 달려있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으로 이미지를 당겨 올 수 없기 때문에 오류가 뜨는 것으로 보인다.해결도커 명령어 옵션으로 ' --platform linux/amd64 '를 덧붙여이미지를 당겨오는 플랫폼이arm64 환경이 아닌 amd64의 linux 환경이라고 명시함으로써에러를 피해 가는 방법을 사용하면 정상적으로 이미지를 다운 받을 수 있다.이 때 platform 인자는 서버가 여러 종류의 platform을 가지고 있을 때 그 중 무엇으로 할 것인지를 명..

카테고리 없음

라즈베리파이 4 도커 설치

라즈베리파이4에 도커를 설치해보자! 설치하고자하는 이유는 라즈베리파이 OS에 ROS2를 사용하고자 하는데, 공식홈페이지에서 docker를 활용하는 방법을 추천하여 우선 docker를 설치하고자 한다. 도커 설치방법은 공식홈페이지을 활용하였다. Docker 설치하기curl -fsSL https://get.docker.com -o get-docker.shsudo sh get-docker.shCopy위를 순서대로 시작하자만약 The repository 'http://packages.ros.org/ros/ubuntu bullseye Release' does not have a Release file 오류가 발생한다면/etc/apt/sources.list.d의 .list 확장자 파일들을 삭제하면 됨 Docker ..

카테고리 없음

Redis 윈도우 설치

Redis란? Redis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면 Redis는 key-value와 같이 Map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한다. 즉 캐시 데이터와 같이 key 값이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좋은 것이다. 또한 redis 자체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 및 제거할 수 있는 등 데이터 관리도 redis를 통해 할 수 있다. https://redis.io/download Redis *Download Stable releases liberally follow the usual major.minor.patch semantic versioning schema. *Other versions Old (6.0) Redis 6.0 introduces SSL, the new RESP3 protocol, ACLs, client si..

라즈베리파이

[라즈베리파이] Redis 설치

레디스 설치 pi@raspberrypi:~ $ wget http://download.redis.io/redis-stable.tar.gz pi@raspberrypi:~ $ tar xvzf redis-stable.tar.gz pi@raspberrypi:~ $ cd redis-stable pi@raspberrypi:~ $ make pi@raspberrypi:~ $ sudo make install 레디스 시작 pi@raspberrypi:~ $ redis-server localhost:6379 에서 시작된다. 레디스 접속 pi@raspberrypi:~ $ redis-cli 외부에서 접속 가능하도록 설정(임시) 127.0.0.1:6379> config set protected-mode no OK 127.0.0.1:..

카테고리 없음

블로킹 vs. 논블로킹, 동기 vs. 비동기

1. 시작하기에 앞서 Block과 non-block, sync와 async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두 용어를 짚고 넘어가야 한다. 제어권 제어권은 자신(함수)의 코드를 실행할 권리 같은 것이다. 제어권을 가진 함수는 자신의 코드를 끝까지 실행한 후, 자신을 호출한 함수에게 돌려준다. 결과값을 기다린다는 것 A 함수에서 B 함수를 호출했을 때, A 함수가 B 함수의 결과값을 기다리느냐의 여부를 의미한다. 2. Blocking(블로킹)과 Non-blocking(논블로킹) 블로킹과 논블로킹은 A 함수가 B 함수를 호출했을 때, 제어권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. 1) 블로킹 블로킹은 A 함수가 B 함수를 호출하면, 제어권을 A가 호출한 B 함수에 넘겨준다. A함수가 B함수를 호출하면 B에게 ..

반응형
Time_rast
timess_